1. 치주염이란?
잇몸질환이라고도 불리는 치주염은 연조직에 손상을 주는 심각한 잇몸 염증으로 치료를 늦추거나 방치 시 치조골에 악영향을 미치기까지 합니다. 따라서 치주염은 치아가 빠지거나 흔들리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 하지만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질병인 만큼 쉽게 예방이 가능합니다. 정기검진을 통해 치주염으로의 악화를 미연에 방지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.
2. 증상
건강한 잇몸은 치아주변의 잇몸을 눌렀을 때 무르다는 느낌이 아닌 단단하다는 느낌을 주며 연한 분홍색과 함께 치아와의 틈새 없이 붙어있습니다. 아래는 치주염의 증상입니다.
- 부어오른 잇몸
- 거무스름하거가 보랏빛 잇몸
- 만졌을 때 무른 느낌
- 쉽게 출혈
- 잇솔질 후 솔에 피가 묻어나고 입안의 거품을 뱉고 헹굴 때 피가 섞여 나옴
- 구취
- 치아와 잇몸사이의 고름
- 치아가 빠지거나 흔들림
- 저작시 통증
- 이 사이가 벌어짐
- 이와 잇몸 사이가 벌어져 평상시 보다 치아가 길어 보임
- 평소와 달리 이를 다물었을 때 변화를 느낌
3. 원인
치주염으로 진행되는 가장 흔한 이유는 플라그(plaque)때문입니다. 플라그는 우리말로 치태라고 불리며 박테리아로 이뤄져 치아 표면에 고착된 얇은 막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이 플라그를 제거 없이 방치했을 때 치주염으로 진행됩니다.
- 치아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 중 전분과 당분이 박테리아와 반응하여 치아에 플라그를 형성합니다. 플라그를 제거하더라도 쉽게 다시 생성되기 때문에 하루 세 번의 양치와 한두 번의 치실 사용으로 플라그 제거가 습관이 되어야 합니다.
- 계속 플라그가 치아에 남아 있으면 플라그는 잇몸선 아래에 굳게 되고 결국 치석이 됩니다. 치석제거는 더욱 어렵게 되며 치석은 박테리아로 꽉 차게 됩니다. 플라그와 치석이 오랜동안 유지될수록, 치아에 더욱더 손상을 줍니다. 양치질과 치실로 치석을 제거할 수 없다면 치과에 방문하여 스케일링해야 합니다.
- 플라그는 치은염의 원인이 됩니다. 치은염은 치아와 가장 인접한 잇몸의 염증입니다.
- 잇몸의 염증이 지속되어 치주염이 되며 플라그, 치석과 박테리아로 가득 찬 잇몸과 치아 사이로 주머니가 만들어지며 결국 더 깊은 곳에 더 많은 박테리아를 가진 주머니로 성장하게 됩니다. 계속 방치하면 잇몸 깊은 곳의 질환으로 조직과 뼈의 손실로 이어지고 결국 한 개 이상의 치아가 빠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또한, 지속적인 만성염증은 면역체계에 부담을 줍니다.
4. 위험요소
치주염의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들
- 치주염
- 좋지 않은 건강습관
- 흡연
- 임신이나 폐경기로 인한 호르몬 변화
- 비만
- 비타민C 부족을 포함 영양결핍
- 유전
- 구강을 건조하게 하거나 잇몸의 변화를 일으키는 의약품
- 면역체계를 무너뜨리는 건강상태(암 치료 등)
- 크론병, 당뇨병, 류머티즘 관절염
5. 합병증
치주염은 치아가 빠지는 원인과 동시에 치주염을 일으킨 박테리아가 잇몸 조직을 통해 혈관에 침투하여 다른 신체부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. 즉, 치주염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, 류머티즘 성 관절염, 관상 동맥 질환 및 당뇨병의 혈당 조절 문제로 이어집니다.
6. 예방
치주염을 예방의 지름길은 아래의 구강청결 프로그램을 따르는 것이며 하루라도 빨리 계속해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구강청결. 매일 하루 3번 3분 칫솔질, 하루 1번 치실 사용하기. 양치질 전 치실 사용은 양치질을 할 때 음식물 찌꺼기 제거를 깔끔하고 제대로 할 수 있게끔 합니다. 올바른 구강청결은 치주염을 일으키기 좋은 구강상태에서 벗어나게 만들어 줍니다.
- 6개월 혹인 12개월 단위로 정기적인 치과 방문을 권합니다.
'질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양악수술이야기 - 쉬운설명과 사진 (0) | 2021.07.05 |
---|---|
백신 교차접종 안전성과 부작용 (0) | 2021.06.26 |
델타변이란? 코로나-19(COVID-19) 변이의 종류 (0) | 2021.06.26 |
사랑니치료하고 이쁜 얼굴로 변신하기 - 2 (0) | 2021.06.24 |
사랑니치료하고 이쁜 얼굴로 변신하기 - 1 (0) | 2021.06.24 |